메뉴 건너뛰기

금주의 법문

본문시작

금주의법문

변의품 20장

관리자 2015.06.22 19:13 조회 수 : 122

이 춘풍이 유가의 규모를 벗어나 출가하여 대종사를 뵈옵고 사뢰기를 [제가 대종사를 뵈오니 마음이 황홀하와 삼천 제자를 거느렸던 공자님을 뵈온 것 같사오나 원래 불교는 유교 선성들이 수긍하지 아니한 점이 있사와 늘 마음에 걸리나이다.]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그 점이 무엇이던가.] 춘풍이 사뢰기를 [불교는 허무 적멸을 주장하므로 무부 무군(無父無君)이 된다고 하였나이다.]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부처님의 본의가 영겁 다생에 많은 부모와 자녀를 위하사 제도의 문을 열어 놓으셨건마는 후래 제자로서 혹 그 뜻에 어그러진 바가 없지도 않았으나, 앞으로는 모든 법을 시대에 적응하게 하여 불교를 믿음으로써 가정의 일이 잘 되게 하고, 불교를 믿음으로써 사회 국가의 일이 잘 되도록 하려 하노니 무부 무군이 될까 염려 하지 말 것이며, 또는 주역(周易)의 무극과 태극이 곧 허무 적멸의 진경이요, 공자의 인(仁)이 곧 사욕이 없는 허무 적멸의 자리요, 자사(子思)의 미발지중(未發之中)이 허무 적멸이 아니면 적연 부동한 중(中)이 될 수 없고, 대학의 명명덕(明明德)이 허무 적멸이 아니면 명덕을 밝힐 수 없는 바라, 그러므로 각종 각파가 말은 다르고 이름은 다르나 그 진리의 본원인즉 같나니라. 그러나, 허무 적멸에만 그쳐 버리면 큰 도인이 될 수 없나니 허무 적멸로 도의 체를 삼고 인·의·예·지로 도의 용을 삼아서 인간 만사에 풀어 쓸 줄 알아야 원만한 대도니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인터넷 법문사경(http://typing.won.or.kr/)으로 하루 업무를 시작합시다. jhlee 2022.03.30 30766
112 성리품 5장 관리자 2015.07.06 105
111 변의품 33장 관리자 2015.06.29 95
» 변의품 20장 관리자 2015.06.22 122
109 변의품 27장 관리자 2015.06.15 115
108 변의품 3장 관리자 2015.06.08 70
107 인과품 5장 관리자 2015.05.18 96
106 도운편 7장 관리자 2014.11.17 165
105 무본편 13장 관리자 2014.11.10 107
104 국운편 33장 관리자 2014.11.03 66
103 인과품 3장 관리자 2014.10.27 101
102 훈련편38장 관리자 2014.10.20 72
101 불지품 6장 관리자 2014.10.13 116
100 부촉품 3장 관리자 2014.10.06 71
99 요훈품 32장 관리자 2014.09.29 98
98 권도편 25장 관리자 2014.09.22 80
97 인과품 28장 관리자 2015.05.11 69
96 수행품 27장 관리자 2014.09.15 98
95 경의편 36장 관리자 2014.09.01 112
94 수행품 16장 관리자 2014.08.25 84
93 경의편 4장 관리자 2014.08.18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