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공주(李共珠) 사뢰기를 [제가 저번에 이웃집 가난한 사람에게 약간의 보시를 하였삽더니 그가 그 후로는 저의 집 일에 몸을 아끼지 아니하오니 복은 지을 것이옵고 지으면 받는 것이 그와 같이 역력함을 알았나이다.]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그대가 복을 지으면 받아지는 이치는 알았으나 잘못하면 그 복이 죄로 화하는 이치도 아는가.] 공주 사뢰기를 [복이 어찌 죄로 화하겠나이까.]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지어 놓은 그 복이 죄가 되는 것이 아니라 복을 지은 그 마음이 죄를 짓는 마음으로 변하기도 한다 함이니, 범상한 사람들은 남에게 약간의 은혜를 베풀어 놓고는 그 관념과 상을 놓지 못하므로 저 은혜 입은 사람이 혹 그 은혜를 몰라 주거나 배은 망덕(背恩忘德)을 할 때에는 그 미워하고 원망하는 마음이 몇 배나 더하여 지극히 사랑하는 데에서 도리어 지극한 미움을 일어내고, 작은 은혜로 도리어 큰 원수를 맺으므로, 선을 닦는다는 것이 그 선을 믿을 수 없고 복을 짓는다는 것이 죄를 만드는 수가 허다하나니, 그러므로 달마(達磨)께서는 "응용 무념(應用無念)을 덕이라 한다" 하셨고, 노자(老子)께서는 "상덕(上德)은 덕이라는 상이 없다" 하셨으니, 공부하는 사람이 이 도리를 알고 이 마음을 응용하여야 은혜가 영원한 은혜가 되고 복이 영원한 복이 되어 천지로 더불어 그 덕을 합하게 될 것이니, 그대는 그 상 없는 덕과 변함 없는 복을 짓기에 더욱 꾸준히 힘쓸지어다.]
|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 인터넷 법문사경(http://typing.won.or.kr/)으로 하루 업무를 시작합시다. | jhlee | 2022.03.30 | 30586 |
186 | 성리품 13장 | 관리자 | 2016.11.09 | 141 |
185 | 공도편 37장 | 관리자 | 2016.11.04 | 134 |
184 | 천도품 17장 | 관리자 | 2016.10.24 | 106 |
» | 인도품 17장 | 관리자 | 2016.10.17 | 84 |
182 | 교의품 7장 | 관리자 | 2016.10.11 | 130 |
181 | 법훈편 58장 | 관리자 | 2016.09.26 | 95 |
180 | 수행품 26장 | 관리자 | 2016.09.19 | 113 |
179 | 교의품 4장 | 관리자 | 2016.09.12 | 101 |
178 | 원리편 39장 | 관리자 | 2016.09.05 | 119 |
177 | 경의편 4장 | 관리자 | 2016.08.30 | 106 |
176 | 근실편 1장 | 관리자 | 2016.08.22 | 99 |
175 | 일원상의 진리 | 관리자 | 2016.08.09 | 86 |
174 | 무본편 15장 | 관리자 | 2016.07.20 | 92 |
173 | 신성품 4장 | 관리자 | 2016.07.11 | 138 |
172 | 일원상의 진리 | 관리자 | 2016.07.05 | 94 |
171 | 교의품 18장 | 관리자 | 2016.06.28 | 92 |
170 | 인도품 21장 | 관리자 | 2016.06.20 | 99 |
169 | 일원상의 진리 | 관리자 | 2016.06.13 | 100 |
168 | 공신편 37, 38장 | 관리자 | 2016.05.30 | 100 |
167 | 권도편 1장 | 관리자 | 2016.05.24 | 1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