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종사, 한번 의심을 발하신 후로는 날이 갈수록 그 마음이 더욱 간절하시어,
밤 낮으로 오직 소원 성취의 길을 찾기에 노심(勞心)하시더니, 11세 때 마읍리 선산 묘제(先山墓祭)에
참례하셨다가, 산신을 먼저 제사하고 선조를 뒤에 제사함을 보시고 친족 중 한 사람에게 그 연유를 물어,
산신은 크게 신령하다 함을 들으시고는 나의 이 모든 의심을 산신에게 물으면 알 수 있으리라 생각하시어, 그 날 부터 내심(內心)에 산신을 만나기로 작정하시었다.
그 후로는, 매일 산중을 더듬어 산과(山果)를 거두시며, 혹 정한 음식을 보시면 그것을 가지고
마을 뒷산 [삼밭재]에 오르시어, [마당바위]라는 바위 위에 제물을 진설하시고, 전후 사방을 향하여
종일토록 예배하시다가, 해 진 후에야 귀가하시기를 매일 과정으로 하시되, 혹은 그 곳에서
밤을 지내기도 하고, 혹은 비가 오고 눈이 와도 하루도 빠짐 없이 5년 간을 일관하시었으며,
처음에는 부모 모르게 그 일을 시작하시었으나, 마침내 모친께서 알으시고 그 정성에 감동하여
많은 후원을 하시었다.
대종사, 15세 때에 부모의 명에 의하여 면내 홍곡리의 규수 양 하운(濟州梁氏 法名夏雲)과 결혼하시고,
16세 되시던 정월, 환세 인사 차로 처가에 가셨다가, 마침 마을 사람이 고대 소설(朴太溥傳 趙雄傳등)
읽는 것을 들으시는 중, 그 소설의 주인공들이 천신 만고 끝에 도사(道士)를 만나 소원을 성취하는지라,
대종사의 심중에 큰 변동이 생기게 되었다. [내가 지금까지 만나고자 하던 산신은, 5년 간 한결 같이 정성을 들였으나 한 번도 보이지 않으니, 가히 믿을 수 없을 뿐 더러, 그 유무를 확실히 알 수도 없는 것인즉,
나도 이제 부터는 저 소설의 주인공 같이 도사 만나는데에 정성을 들인다면, 도사는 사람이라 반드시 없지도 아니하리라] 생각하시고, 전날의 결심을 도사 만날 결심으로 돌리시었다.
그 후로는 길에 이상한 사람이나 걸인이 있어도 그가 혹 도사나 아닌가 하여 청하여 시험해 보시며,
또한 어디에 이인(異人)이나 은사(隱士)가 있다고 하면 반드시 찾아 가 보시고, 혹은 청하여 같이
지내시며 시험해 보기도 하여, 그 후 6년 간 도사를 찾아 일천 정성을 다 들이시었다.
댓글 0
- 전체
- 동방의 새불토
- 소태산 대종사
- 제생의세의 경륜
- 회상건설의 정초
- 교법의 초안
- 새 회상의 공개
- 새 제도의 마련
- 교단체제의 형성
- 끼쳐주신법등
- 교단체제의 완비
- 성업봉찬사업
- 목표사업기관의 확립
- 일원세계의 터전
- 결실성업의 전진
- 개교 반백년의 결실
제목 | 조회 수 |
---|---|
■ 인터넷 법문사경(http://typing.won.or.kr/)으로 하루 업무를 시작합시다. | 30659 |
2. 봉래산 법회와 일원상 구상 | 120 |
2. 수양기관 설립과 재단 기업 계열화 | 135 |
2. 전재 동포 구호와 건국 사업 | 1952 |
2. 정관평 방언 공사 | 166 |
2. 제 1대 성업 봉찬 대회 | 133 |
2. 초기 교서들의 발간 | 105 |
2. 총부 기지의 확정과 건설 | 104 |
2. 최종 회규의 시행과 전법 게송 | 94 |
2. 최초의 법어 | 133 |
2. 한민족과 한반도 | 89 |
3. [대종경]편수와 [정전]재편 | 118 |
3. [불교정전]의 편수 발간 | 134 |
3. 각 조단의 정비와 새 회규의 시행 | 99 |
3. 교강 선포와 첫 교서 초안 | 121 |
3. 교화 삼대목표 추진과 법위 향상운동 | 141 |
3. 대종사의 구도 | 112 |
3. 삼대 선원(三大禪院) 개설과 장학 사업 | 106 |
3. 유일학림의 개설 | 404 |
3. 의례 제도의 개혁과 4기념례 | 101 |
3. 전무출신의 공동 생활 | 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