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기 38년(1953·癸巳) 4월 26일에 제 1대 성업봉찬 대회가 열렸다.
여러 가지 사정으로 원정 기일(元定期日)을 1년 연기하였으나
새 회상이 창립 제 1대를 공적으로 마감하는 동시에,
제 2대를 맞게 되는 뜻 깊은 기념 일이었다.
이날 오전 10시, 새로 다듬은 원광대학 광장의 대회장에는
수 많은 축하 인사와 5천 여명의 남녀 교도가 운집한 가운데
수위단 중앙단원 유 허일의 대회사로 대회가 개회되고,
종법사의 치사와 봉찬회장 이 공주의 기념사에 이어,
제 1대 전체 교도의 공부 사업 원성적 내역 발표와 성적표 수여가 있은 후,
중앙 정계 인사들의 축사에 이어, 원불교 만세 삼창으로 폐회 되었다.
이 날 오후에는 김 영신·조 전권에 대한 첫 연화장 수여식이 있었으며,
다음날의 중앙 교의회에서는 정산 종법사를 연임 추대하고,
첫 총선거로 수위단이 개편되었으며, 교정원장에 김 대거, 감찰원장에 이 공주를 선임하여,
제 2대 교단의 첫 운영을 맡겼다. 또한 새 회상은 당년 부터 시창 연호를 원기로 기록하기로 하고,
새 대향 예법을 실행하며, 대종사 성비를 봉건함으로써,
동란 중 경제 공황 속에 재가 출가가 정성을 모은 제 1차 대종사 성업 봉찬 사업의 막을 내렸다.
제 1대 전체 교도의 공부 사업 원성적 내역은, 준 5등 이상 입등자 1,754명 중,
전무출신 입등자 258명, 거진출진 입등자 1,496명인 바, 전무출신은 준 특등 8명,
정 1등 17명, 준 1등 20명, 정 2등 6명, 준 2등 40명, 정 3등 28명, 준 3등 48명,
정 4등 31명, 준 4등 31명, 정 5등 10명, 준 5등 13명, 확정 보류자 6명이요,
거진 출진은 준 특등 1명, 정 1등 3명, 준 1등 6명, 정 2등 8명, 준 2등 16명,
정 3등 23명, 준 3등 78명, 정 4등 51명, 준 4등 179명, 정 5등 211명, 준 5등 881명,
특별 추증자 39명이었다.
전무출신 준 특등자는 이 공주·송 도성·김 광선·김 기천·이 동안·이 동진화·오 창건·이 재철이요,
거진출진 준 특등자는 황정신행 이었으며, 법위 정사(正師) 이상자는 원정사(圓正師) 송 도성,
정사(正師) 김 광선·김 기천·이 동안·오 창건·이 재철·박 세철·이 인의화(李仁義華)·서 동풍 이었다.
총 결산 후, 정산 종법사는 [공부의 등위와 사업의 등급에 공정을 기하고자 애를 썼으나,
어찌 그 숨은 공부와 숨은 공로가 다 드러나기를 바랄 수 있으리요.
그런즉 우리는, 참다운 사정(査定)은 호리도 틀림 없는 진리에 맡기고
이번에 나타난 등급으로는 앞 날의 적공에 더욱 분발할 대중만 삼는다면,
이 분들이 참으로 알뜰한 우리 동지요, 참으로 등급 높은 공인(功人)이니,
후일, 영모전에서 등위보다 실적이 넉넉한 선령은 제사 받기가 떳떳하지마는,
실적이 혹 등위만 못한 선령은 헛 대접 받기가 얼마나 부끄러우리요] 하시었다.
댓글 0
- 전체
- 동방의 새불토
- 소태산 대종사
- 제생의세의 경륜
- 회상건설의 정초
- 교법의 초안
- 새 회상의 공개
- 새 제도의 마련
- 교단체제의 형성
- 끼쳐주신법등
- 교단체제의 완비
- 성업봉찬사업
- 목표사업기관의 확립
- 일원세계의 터전
- 결실성업의 전진
- 개교 반백년의 결실
제목 | 조회 수 |
---|---|
■ 인터넷 법문사경(http://typing.won.or.kr/)으로 하루 업무를 시작합시다. | 30659 |
2. 봉래산 법회와 일원상 구상 | 120 |
2. 수양기관 설립과 재단 기업 계열화 | 135 |
2. 전재 동포 구호와 건국 사업 | 1952 |
2. 정관평 방언 공사 | 166 |
2. 제 1대 성업 봉찬 대회 | 133 |
2. 초기 교서들의 발간 | 105 |
2. 총부 기지의 확정과 건설 | 104 |
2. 최종 회규의 시행과 전법 게송 | 94 |
2. 최초의 법어 | 133 |
2. 한민족과 한반도 | 89 |
3. [대종경]편수와 [정전]재편 | 118 |
3. [불교정전]의 편수 발간 | 134 |
3. 각 조단의 정비와 새 회규의 시행 | 99 |
3. 교강 선포와 첫 교서 초안 | 121 |
3. 교화 삼대목표 추진과 법위 향상운동 | 141 |
3. 대종사의 구도 | 112 |
3. 삼대 선원(三大禪院) 개설과 장학 사업 | 106 |
3. 유일학림의 개설 | 404 |
3. 의례 제도의 개혁과 4기념례 | 101 |
3. 전무출신의 공동 생활 | 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