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회 기념 총회(원기13년3월)를 마치고 제 2회에 접어 들면서
새 회상이 먼저 착수한 중요한 일은 교화 기관지의 발행이었다.
원기 13년(1928·戊辰) 5월에 월간(月刊) [월말통신(月末通信)]이
송 도성(硏究部書記) 주간(主幹)으로 창간되어 복사판으로 34호(원기15년 12월호)까지
발행하다가, 교서 편찬 등 사무 관계로 부득이 한 동안 중단되었으며,
원기 17년(1932·壬申) 4월에 복간, [월보(月報)]로 개제하여,
전 음광(硏究部長) 주간 아래 등사판으로 48호(원기18년 6월호) 까지 발행하다가,
출판법 관계로 적발되어 48호 전부를 일경(日警)에게 압수 당하고 폐간 되었다.
원기 18년(1933·癸酉) 9월, 총독부 당국의 정식 허가를 얻어,
월간 [회보(會報)](全飮光주간)를 창간, 등사판 발행을 계속하다가,
원기 19년(1934·甲戌) 12월호(會報13호)부터 이 공주(通信部長) 주간으로
인쇄판을 발행, 점차 부수가 증가되었으나, 25년(1940·庚辰)
제 2차 세계 대전이 급박해지면서 계간으로 바꾸었다가,
26년(1941·辛巳) 1월, 통권(通卷) 65호를 마지막으로 마침내 휴간하였다.
[월말 통신(月末通信)]은 당시 몇 개소의 지방 교당에 법설 요지와
총부 전달 사항 및 교단 소식을 주로 보도하였고, [월보]와 등사판 [회보]는
거기에 의견 교환의 역할도 겸하였으며, 인쇄판 [회보]는 차차 교화와 문화 기능도
겸하게 되어, 일정(日政) 압제 아래 유일한 문화 활동의 명맥이 되었고,
법설 기재와 감각·감상·의견·처리·문목건 등의 제출이 많이 권장되어,
초기 교단의 정신적 유산으로 길이 남게 되었다.
댓글 0
- 전체
- 동방의 새불토
- 소태산 대종사
- 제생의세의 경륜
- 회상건설의 정초
- 교법의 초안
- 새 회상의 공개
- 새 제도의 마련
- 교단체제의 형성
- 끼쳐주신법등
- 교단체제의 완비
- 성업봉찬사업
- 목표사업기관의 확립
- 일원세계의 터전
- 결실성업의 전진
- 개교 반백년의 결실
제목 | 조회 수 |
---|---|
■ 인터넷 법문사경(http://typing.won.or.kr/)으로 하루 업무를 시작합시다. | 30655 |
1. 교법의 연원 | 171 |
1. 교화 기관지의 발행 | 135 |
1. 대종사 성탑의 봉건과 봉찬사업 준비 | 180 |
1. 대종사의 탄생과 유시 | 158 |
1. 불법에 대한 선언 | 153 |
1. 불법연구회 창립 총회 | 161 |
1. 사종 의무 여행(勵行)과 교헌 개정 | 143 |
1. 삼대 목표사업과 재단 기업의 시련 | 152 |
1. 상조조합과 산업·육영 창립단 | 127 |
1. 새 회상의 확인과 반백년 준비 | 152 |
1. 서설 | 114 |
1. 시국의 긴박과 계획의 보류 | 121 |
1. 일정의 탄압과 해방 | 135 |
1. 저축 조합 운동 | 206 |
1. 정산 종법사 열반과 대산(大山)종법사 추대 | 146 |
2. [교전] 발간과 교서 결집 | 185 |
2. 공부·사업 고시법과 유공인 대우법 | 144 |
2. 교육 사업 진흥과 원광학원군 | 126 |
2. 대종사의 발심 | 137 |
2. 도운융창 대기도와 해외 포교 모색 | 1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