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기 48년(1963·癸卯) 4월, 수위단회에서는 정남 정녀 휴양 기관으로
수도원의 설립이 의결 되었다. 일찌기 대종사께서 계획하시고
정산 종사 당시부터 그 설립을 모색, 자체에서 기금을 길러 온 수도원이,
이에 이르러 공식으로 발족되고, 초대 원장에 이 공주가 선임 되었다.
수도원은, 그 후 서울 한남동 대지를 인수, 그 완전 불하에 공헌하였으며,
한동안 양주 농장 등을 경영하였고, 55년(1970·庚戌) 1월에는
종로 5가에 건물을 매입하여 한의원 발족을 모색하였다.
한 편, 원기 39년(1954·甲午)에 부안 교당(교무·丁良珍) 발의로 수도원에서
매입한 변산 하섬은 봉래산 제법 성지의 기슭에서 새 회상의 해상 수양원
겸 편수 도량이 되었으며, 46년(1961·辛丑)에 정산 종사의 발기로 대지(9백여평)를 매입,
남선 교당을 옮겨 둠으로써 시작된 충남 신도 수양 기관은 대산 종법사의 직접 후원 아래
7년 동안 기지 확장과 건물 매입을 계속해 오다가, 52년(1967·丁未) 10월,
수위단회에서 삼동 수양원(초대원장·李炳恩) 설립이 의결됨으로써
유서 깊은 지역에 특수한 수양원 기능을 발휘하게 되었다.
또한 회상 초기부터 특별 연지(緣地)이던 진안 만덕산은 52년(1967·丁未)부터
복구 개발에 착수, 앞으로 선농 일치의 수양 기관을 모색 중이고,
기타 각처의 교단 양로원들이 다 수양원의 기능을 겸행하여 노후 유공인들의 수양에 공헌하고 있다.
한 편, 새 회상이 반백년을 지내오는 동안, 교단의 여러 산업 기관들이
기복과 성쇠를 거듭하는 가운데, 보화당은 이 동안·송 혜환·조 희석이 차례로
대표 이사의 대를 이으며, 각 부면의 경제에 많은 공헌을 하는 중,
49년(1964·甲辰) 4월에는 이리 삼중당 제약사를 흡수하여,
그 해 9월에 보화 경옥고를 주종목으로 하는 보화당 제약사(사장·趙暿錫)를 창설함으로써
보화당은 상공업 병진 기업체가 되었고, 55년(1970·庚戌) 7월에는
기업의 중앙 진출과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하여 종로 5가에 서울 보화당(회장·李共珠사장·李喆行)을
개설하고, 이어서 57년(1972·壬子) 7월에는 이리 역전 보화당(사장·李喆行)을 개설함으로써
재단 기업체 보화당은 차차 계열 기업화하기 시작하였다.
댓글 0
- 전체
- 동방의 새불토
- 소태산 대종사
- 제생의세의 경륜
- 회상건설의 정초
- 교법의 초안
- 새 회상의 공개
- 새 제도의 마련
- 교단체제의 형성
- 끼쳐주신법등
- 교단체제의 완비
- 성업봉찬사업
- 목표사업기관의 확립
- 일원세계의 터전
- 결실성업의 전진
- 개교 반백년의 결실
제목 | 조회 수 |
---|---|
■ 인터넷 법문사경(http://typing.won.or.kr/)으로 하루 업무를 시작합시다. | 30659 |
1. 교법의 연원 | 171 |
1. 교화 기관지의 발행 | 135 |
1. 대종사 성탑의 봉건과 봉찬사업 준비 | 181 |
1. 대종사의 탄생과 유시 | 158 |
1. 불법에 대한 선언 | 153 |
1. 불법연구회 창립 총회 | 161 |
1. 사종 의무 여행(勵行)과 교헌 개정 | 143 |
1. 삼대 목표사업과 재단 기업의 시련 | 152 |
1. 상조조합과 산업·육영 창립단 | 127 |
1. 새 회상의 확인과 반백년 준비 | 152 |
1. 서설 | 114 |
1. 시국의 긴박과 계획의 보류 | 121 |
1. 일정의 탄압과 해방 | 135 |
1. 저축 조합 운동 | 206 |
1. 정산 종법사 열반과 대산(大山)종법사 추대 | 146 |
2. [교전] 발간과 교서 결집 | 185 |
2. 공부·사업 고시법과 유공인 대우법 | 144 |
2. 교육 사업 진흥과 원광학원군 | 126 |
2. 대종사의 발심 | 137 |
2. 도운융창 대기도와 해외 포교 모색 | 1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