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종사, 평소에 말씀하시기를 [우리의 사업 목표는 교화·교육·자선의 세 가지니,
앞으로 이를 늘 병진하여야 우리의 사업에 결함이 없으리라] 하시고,
이 3대 목표의 사업 기관을 고루 시설해 보시려고 노력하시었으나,
험난한 시국 관계로 그 뜻을 다 펴지 못하고 떠나시었다.
해방 후, [원불교 교헌]은 [본교는, 유치원·학교·수양원·요양원·병원·양로원·고아원 등을
수의(隨宜) 설치한다]고 하고, [유치원· 학교는 일반 교육기관으로,
수양원·요양원은 본교 유공인의 수양과 요양기관으로, 병원·양로원·고아원은
일반 자선기관으로 한다]고 규정하여, 교단은 이 3대목표 사업 기관의
균형 있는 확립을 지향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그 동안 교단의 유지와 사업을 뒷 받침해온 산업 기관은
주로 농원과 과원이었고, 교산 또한 정관평을 비롯, 대부분이 농토와 임야로 되어 있었다.
해방 후 법인으로 등록된 새 회상 재단의 농지 중 직접 경작하지 않던
논 20여만 평과 밭 8만 여평이 원기 35년(1950·庚寅)에 실시된 농지 개혁법에 의하여
전부 정부에 매상 되었다. 그에 따라, 교단은 해당 농지에 대한
문교재단 보상금(地價證券:正租 2,771石4斗整)을 상공업 병진 기업체로
전환 운영할 것을 결의하고, 삼례 과원에서 다량 생산되는 통조림 제조용 황도가
그 방면에 수급되지 못함을 전용(轉用) 하여, 과정 양조(果精釀造)를 주 종목으로
하는 대기업체 하나를 창설하기로 하고, 36년(1951·辛卯) 8월,
이리에 있는 귀속 재산을 사들여 재단 기업체 삼창 공사(三昌公社)를 창립하였다.
삼창이란 3대 사업을 창성케 하자는 뜻이었고, 재단의 지가 증권이 거의 다 투자되었으며,
삼례 과원을 직속 기관으로 까지 하였으나, 삼창 공사는 시국의 격동으로 인한 경제 불안,
편법에만 따른 부적당한 기업종목, 관리의 경험 부족 등으로 운영 3년 여에
기대했던 결과를 보지 못하고 끝나, 그 후 여러 해 동안 총부 경제가 큰 시련을 겪게 되었고,
42년(1957·丁酉) 11월에 총부 유지대책 위원회를 발족시켜,
이듬해 5월에야 총부 유지답(7,000여평)을 겨우 장만하게 되었다.
댓글 0
- 전체
- 동방의 새불토
- 소태산 대종사
- 제생의세의 경륜
- 회상건설의 정초
- 교법의 초안
- 새 회상의 공개
- 새 제도의 마련
- 교단체제의 형성
- 끼쳐주신법등
- 교단체제의 완비
- 성업봉찬사업
- 목표사업기관의 확립
- 일원세계의 터전
- 결실성업의 전진
- 개교 반백년의 결실
제목 | 조회 수 |
---|---|
■ 인터넷 법문사경(http://typing.won.or.kr/)으로 하루 업무를 시작합시다. | 30659 |
1. 교법의 연원 | 171 |
1. 교화 기관지의 발행 | 135 |
1. 대종사 성탑의 봉건과 봉찬사업 준비 | 181 |
1. 대종사의 탄생과 유시 | 158 |
1. 불법에 대한 선언 | 153 |
1. 불법연구회 창립 총회 | 161 |
1. 사종 의무 여행(勵行)과 교헌 개정 | 143 |
1. 삼대 목표사업과 재단 기업의 시련 | 152 |
1. 상조조합과 산업·육영 창립단 | 127 |
1. 새 회상의 확인과 반백년 준비 | 152 |
1. 서설 | 114 |
1. 시국의 긴박과 계획의 보류 | 121 |
1. 일정의 탄압과 해방 | 135 |
1. 저축 조합 운동 | 206 |
1. 정산 종법사 열반과 대산(大山)종법사 추대 | 146 |
2. [교전] 발간과 교서 결집 | 185 |
2. 공부·사업 고시법과 유공인 대우법 | 144 |
2. 교육 사업 진흥과 원광학원군 | 126 |
2. 대종사의 발심 | 137 |
2. 도운융창 대기도와 해외 포교 모색 | 1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