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기 3년(1918·戊午) 10월, 옥녀봉(玉女峰) 아래 도실(道室) 건축을 착수하여, 12월에 준공하니,
이것이 곧 새 회상의 첫 교당인 옥녀봉 구간 도실이다. 그 동안 조합원들이 모이는 장소가
일정치 못하여, 처음에는 이웃 마을 범현동(帆懸洞)의 재각(齋閣) 한 편을 빌려 썼고,
다음에는 강변 주점을 임시 방언 관리소로 정하였으나, 모두 비좁아 여러가지 행사에
불편이 많으므로, 이에, 비로소 도실을 건축한 것인 바, 조합원들이 한 편으로는 방언에
종사하고 한 편으로는 건축에 주력하여, 산에 올라 나무를 베고 땅을 녹여 흙을 이겨서,
풍설을 무릅쓰고 근근히 성조(成造)하였다. 대종사, 그 상량에 쓰시기를
[사원기일월 직춘추법려(梭圓機日月織春秋法呂)]라 하시고, 또 그 아래에 쓰시기를
[송수만목여춘립 계합천봉세우명(松收萬木餘春立 溪合千峰細雨鳴)]이라 하시었다.
첫 교당을 준공한 후, 대종사, 낮에는 방언 공사를 총감하시어 잠시도 쉬실 여유가 없고,
밤에는 또한 설법으로써 밤을 지내실 때가 많았다. 조합원들은 낮에 비록 그와 같이
힘겨운 노동을 하나, 밤마다 법설 듣는 재미가 진진하여 그 즐거운 마음과 활달한 태도는
이루 다 말할 수 없었으며, 사업과 공부의 병진으로 지혜의 길도 점차 개척되어,
재래에 가졌던 허영의 마음이 차차 진실한 마음으로 전환되고, 미신의 생각이 차차 올바른 믿음으로
돌아 오며, 타력에만 의뢰하던 생각이 차차 자력을 찾게 되고, 공부의 정도도 또한 점점 진보되어,
정법 선포의 기연이 날로 가까와 졌다.
댓글 0
- 전체
- 동방의 새불토
- 소태산 대종사
- 제생의세의 경륜
- 회상건설의 정초
- 교법의 초안
- 새 회상의 공개
- 새 제도의 마련
- 교단체제의 형성
- 끼쳐주신법등
- 교단체제의 완비
- 성업봉찬사업
- 목표사업기관의 확립
- 일원세계의 터전
- 결실성업의 전진
- 개교 반백년의 결실
제목 | 조회 수 |
---|---|
■ 인터넷 법문사경(http://typing.won.or.kr/)으로 하루 업무를 시작합시다. | 30659 |
1. 교법의 연원 | 171 |
1. 교화 기관지의 발행 | 135 |
1. 대종사 성탑의 봉건과 봉찬사업 준비 | 181 |
1. 대종사의 탄생과 유시 | 158 |
1. 불법에 대한 선언 | 153 |
1. 불법연구회 창립 총회 | 161 |
1. 사종 의무 여행(勵行)과 교헌 개정 | 143 |
1. 삼대 목표사업과 재단 기업의 시련 | 152 |
1. 상조조합과 산업·육영 창립단 | 127 |
1. 새 회상의 확인과 반백년 준비 | 152 |
1. 서설 | 114 |
1. 시국의 긴박과 계획의 보류 | 121 |
1. 일정의 탄압과 해방 | 135 |
1. 저축 조합 운동 | 206 |
1. 정산 종법사 열반과 대산(大山)종법사 추대 | 146 |
2. [교전] 발간과 교서 결집 | 185 |
2. 공부·사업 고시법과 유공인 대우법 | 144 |
2. 교육 사업 진흥과 원광학원군 | 126 |
2. 대종사의 발심 | 137 |
2. 도운융창 대기도와 해외 포교 모색 | 1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