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기 4년(1919·己未) 3월, 방언 공사를 마친 후, 대종사, 9인 단원에게 말씀하시기를
[지금 물질 문명은 그 세력이 날로 융성하고, 물질을 사용하는 사람의 정신은 날로 쇠약하여,
개인·가정·사회·국가가 모두 안정을 얻지 못하고, 창생의 도탄이 장차 한이 없게 될지니,
세상을 구할 뜻을 가진 우리로서 어찌 이를 범연히 생각하고 있으리요.
옛 성현들도 창생을 위하여 지성으로 천지에 기도 하여 천의(天意)를 감동시킨 일이 없지 않나니,
그대들도 이 때를 당하여, 전일한 마음과 지극한 정성으로 모든 사람의 정신이 물질에
끌리지 아니하고 물질을 사용하는 사람이 되어 주기를 천지에 기도하여 천의에
감동이 있게 하여 볼지어다. 그대들의 마음은 곧 하늘의 마음이라, 마음이 한번 전일하여
조금도 사(私)가 없게 되면, 곧 천지로 더불어 그 덕을 합하여 모든 일이 다 그 마음을 따라
성공될 것이니, 그대들은 각자의 마음에 능히 천의를 감동시킬 요소가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며,
각자의 몸에 또한 창생을 제도할 책임이 있음을 항상 명심하라] 하시니, 9인은 황송하고
기쁜 마음으로 일제히 지도하심을 청하였다.
이에, 3월 26일에 시작하여, 10일간 재계(齋戒)로써 매 삼륙일(每三六日)(6일·16일·26일)에
기도식을 거행하되, 치재(致齋) 방식은, 첫째 마음 정결을 위주하고, 계문(戒文)을 더욱 준수하며,
육신도 자주 목욕 재계하고, 기도 당일에는 오후 8시 안으로 일찌기 도실에 모여 대종사의 교시를
받은 후, 9시 경에 기도 장소로 출발하게 하였다.
기도는, 10시 부터 12시 정각 까지 하며, 기도를 마친 후 또한 일제히 도실에 돌아오되,
단원들이 각각 시계를 가져, 기도의 시작과 그침에 서로 시각이 어긋나지 않게 하였다.
장소는 각각 단원의 방위를 따라 정하되, 중앙봉으로 비롯하여 8방의 봉우리(峰巒)를 지정하고,
단기(團旗)인 팔괘기(八卦旗)를 기도 장소 주위에 세우게 하며, 기도식을 시작할 때에는
먼저 향촉과 청수를 진설하고 헌배와 심고를 올리며, 축문을 낭독한 다음 지정한 주문을 독송케 하였다.
댓글 0
- 전체
- 동방의 새불토
- 소태산 대종사
- 제생의세의 경륜
- 회상건설의 정초
- 교법의 초안
- 새 회상의 공개
- 새 제도의 마련
- 교단체제의 형성
- 끼쳐주신법등
- 교단체제의 완비
- 성업봉찬사업
- 목표사업기관의 확립
- 일원세계의 터전
- 결실성업의 전진
- 개교 반백년의 결실
제목 | 조회 수 |
---|---|
■ 인터넷 법문사경(http://typing.won.or.kr/)으로 하루 업무를 시작합시다. | 30659 |
1. 교법의 연원 | 171 |
1. 교화 기관지의 발행 | 135 |
1. 대종사 성탑의 봉건과 봉찬사업 준비 | 181 |
1. 대종사의 탄생과 유시 | 158 |
1. 불법에 대한 선언 | 153 |
1. 불법연구회 창립 총회 | 161 |
1. 사종 의무 여행(勵行)과 교헌 개정 | 143 |
1. 삼대 목표사업과 재단 기업의 시련 | 152 |
1. 상조조합과 산업·육영 창립단 | 127 |
1. 새 회상의 확인과 반백년 준비 | 152 |
1. 서설 | 114 |
1. 시국의 긴박과 계획의 보류 | 121 |
1. 일정의 탄압과 해방 | 135 |
1. 저축 조합 운동 | 206 |
1. 정산 종법사 열반과 대산(大山)종법사 추대 | 146 |
2. [교전] 발간과 교서 결집 | 185 |
2. 공부·사업 고시법과 유공인 대우법 | 144 |
2. 교육 사업 진흥과 원광학원군 | 126 |
2. 대종사의 발심 | 137 |
2. 도운융창 대기도와 해외 포교 모색 | 1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