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이 되자 총부에서는 교명을 [원불교]라 내정하여 교헌을 새로 기초하며,
재단 법인 등록 절차도 밟아, 원기 32년(1947·丁亥) 1월16일
[재단법인 원불교](이사장柳虛一)의 등록 인가가 나옴으로써
그 해 4월 총회에 공식으로 교명의 결정을 보고하였고,
1년 동안 교헌을 더 손질하여 이듬 해인 33년(1948·戊子) 4월 26일
총대회(總代會)에서 [원불교 교헌]의 정식 통과를 보는 동시에,
27일 총부 대각전에서 교명 선포식을 가져, 새 회상은 [원불교]라는
정식 교명을 천하에 공시하였다.
정산 종법사는 [원(圓)은 곧 만법의 근원인 동시에 또한 만법의 실재인지라,
모든 교법이 원(圓) 외에는 다시 한 법도 없는 것이며,
불(佛)은 곧 깨닫는다는 말이요 마음이라는 뜻이니,
원(圓)의 진리가 아무리 원만하여 만법을 다 포함하였다 할지라도
깨닫는 마음이 없으면 이는 다만 빈 이치에 불과한 것이다.
그러므로 원(圓) 불(佛) 두 글자는 원래 둘이 아닌 진리로서
서로 떠나지 못할 관계가 있는 것이라]고 교명의 뜻을 설명하시었다.
한 편, 총 2편 24장 225조로 된 [원불교 교헌]의 반포는
새 회상이 정식 교명과 함께 교단의 새 체제를 정립하여,
명(名)과 실(實)이 함께 하나의 새 종교로 거듭 출발하게 된 획기적인 사실이었다.
[원불교 교헌]은 제 1편 교정(敎政)이 총 15장 138조로서 교명을 원불교,
본존을 일원상, 본경을 불교정전, 대표를 종법사로 규정하는 동시에,
교단 최고 결의 기관으로 중앙 교의회와 최고 집행 기관으로 중앙 총부를 두되,
중앙 총부에 교정원과 감찰원을 두며, 교정원에 교무·서무·산업·재무 4부와,
감찰원에 감사·사서 2부를 두게 되어 있으며, 종법사의 최고 자문 기관으로
수위단회를 규정하였다. 제2편 교제(敎制)에는 전무출신·거진출진·희사위·공부 등위·
사업 등급·법계·연원·은족·부칙 등 9개 장이 있는 바,
[교조 소태산 대종사로 위시하여 법계를 계산한다]는 것과
[법계는 연수로써 계산하되 매대수를 36년으로 한다]는 것과
[영모전을 건설한다]는 것과 [영모전 향례는 연중 2차씩 거행한다]는 것 등이 규정되어 있다.
또한 새 교헌에 의한 제 1회 중앙 교의회는 종법사와 수위단원은
제1대 기념 총회 연도(원기 38년 4월)까지 유임케 하기로 하고,
초대 교정원장에 유 허일(柳虛一) 초대 감찰원장에 오 창건을 선임하였으며,
중앙 교의회 의장은 당연직으로 교정원장이 겸임하였다.
댓글 0
- 전체
- 동방의 새불토
- 소태산 대종사
- 제생의세의 경륜
- 회상건설의 정초
- 교법의 초안
- 새 회상의 공개
- 새 제도의 마련
- 교단체제의 형성
- 끼쳐주신법등
- 교단체제의 완비
- 성업봉찬사업
- 목표사업기관의 확립
- 일원세계의 터전
- 결실성업의 전진
- 개교 반백년의 결실
제목 | 조회 수 |
---|---|
■ 인터넷 법문사경(http://typing.won.or.kr/)으로 하루 업무를 시작합시다. | 30659 |
1. 교법의 연원 | 171 |
1. 교화 기관지의 발행 | 135 |
1. 대종사 성탑의 봉건과 봉찬사업 준비 | 181 |
1. 대종사의 탄생과 유시 | 158 |
1. 불법에 대한 선언 | 153 |
1. 불법연구회 창립 총회 | 161 |
1. 사종 의무 여행(勵行)과 교헌 개정 | 143 |
1. 삼대 목표사업과 재단 기업의 시련 | 152 |
1. 상조조합과 산업·육영 창립단 | 127 |
1. 새 회상의 확인과 반백년 준비 | 152 |
1. 서설 | 114 |
1. 시국의 긴박과 계획의 보류 | 121 |
1. 일정의 탄압과 해방 | 135 |
1. 저축 조합 운동 | 206 |
1. 정산 종법사 열반과 대산(大山)종법사 추대 | 146 |
2. [교전] 발간과 교서 결집 | 185 |
2. 공부·사업 고시법과 유공인 대우법 | 144 |
2. 교육 사업 진흥과 원광학원군 | 126 |
2. 대종사의 발심 | 137 |
2. 도운융창 대기도와 해외 포교 모색 | 1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