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기 3년(1918·戊午) 3월에, 대종사, 저축 조합의 저축금을 수합하신 후,
조합원들에게 말씀하시기를 [이제는 어떠한 사업이나 가히 경영할 만한 약간의 기본금을 얻었으니,
이것으로 사업에 착수하여야 할 것인 바, 나의 심중에 일찌기 한 계획이 있으니,
그대들은 잘 생각해 보라] 하시고, 길룡리 앞 바닷물 내왕하는 간석지를 가리키시며
[이것은 모든 사람의 버려 둔 바라, 우리가 언(堰)을 막아 논을 만들면 몇 해 안에
완전한 논이 될 뿐 더러 적으나마 국가 사회의 생산에 한 도움도 될 것이다.
이러한 개척 사업부터 시작하여 처음부터 공익의 길로 나아감이 어떠하냐] 하시었다.
조합원들은 원래 신심이 독실한 중에 몇 번의 증험도 있었으므로, 대종사의 말씀에는
다른 사량 계교를 내지 아니하고 오직 절대 복종 하였다. 이에, 일제히 명을 받들어 오직
순일한 마음으로 지사 불변(至死不變)하겠다는 서약을 올리고, 다음날로 곧 방언 공사에 착수하였다.
조합원들이 공사에 착수하니, 근방 사람들은 이 말을 듣고 모두 냉소하며, 혹은 장차 성공치
못할 것을 단언하여 장담하는 이도 있었다. 그러나, 조합원들은 그 비평 조소에 조금도
끌리지 아니하고, 용기를 더욱 내며 뜻을 더욱 굳게 하여, 일심 합력으로 악전고투를 계속 하였다.
삼복 성염(三伏盛炎)에는 더위를 무릅쓰고, 삭풍 한설에는 추위를 헤치면서,
한 편은 인부들을 독촉하고 한 편은 직접 흙짐을 져서, 조금도 피곤한 기색을 보이지 아니 하였다.
방언 공사는 이듬해인 원기 4년(1919·己未) 3월에 준공되니, 공사 기간은 만 1개년이요
간척 농토 면적은 2만6천여평(坪)이었다. 대종사, 피땀의 정성 어린 새 농장을 [정관평]이라
이름하시니, 이는 오직 대종사의 탁월하신 영도력과 9인 제자의 일심 합력으로써
영육 쌍전의 실지 표본을 보이시고, 새 회상 창립의 경제적 기초를 세우신 일대 작업이었다.
공사를 마친 후에도 조합원들의 노력과 고생은 쉬지 아니하였으니, 넉넉지 못한 힘으로
근근히 준공은 하였으나, 아직 굳어지지 않은 언(堰)의 뒷 일과 4·5년 간의 해독(海毒)으로
수 년간 작농에 손실을 보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여러 해를 두고 조합원 외에도 육신과
재력(財力)으로써 직접 간접으로 후원을 한 이가 적지 않았으니,
특별 후원자는 유 정천(劉正天)등 18인(별록1)이었다.
댓글 0
- 전체
- 동방의 새불토
- 소태산 대종사
- 제생의세의 경륜
- 회상건설의 정초
- 교법의 초안
- 새 회상의 공개
- 새 제도의 마련
- 교단체제의 형성
- 끼쳐주신법등
- 교단체제의 완비
- 성업봉찬사업
- 목표사업기관의 확립
- 일원세계의 터전
- 결실성업의 전진
- 개교 반백년의 결실
제목 | 조회 수 |
---|---|
■ 인터넷 법문사경(http://typing.won.or.kr/)으로 하루 업무를 시작합시다. | 30659 |
1. 교법의 연원 | 171 |
1. 교화 기관지의 발행 | 135 |
1. 대종사 성탑의 봉건과 봉찬사업 준비 | 181 |
1. 대종사의 탄생과 유시 | 158 |
1. 불법에 대한 선언 | 153 |
1. 불법연구회 창립 총회 | 161 |
1. 사종 의무 여행(勵行)과 교헌 개정 | 143 |
1. 삼대 목표사업과 재단 기업의 시련 | 152 |
1. 상조조합과 산업·육영 창립단 | 127 |
1. 새 회상의 확인과 반백년 준비 | 152 |
1. 서설 | 114 |
1. 시국의 긴박과 계획의 보류 | 121 |
1. 일정의 탄압과 해방 | 135 |
1. 저축 조합 운동 | 206 |
1. 정산 종법사 열반과 대산(大山)종법사 추대 | 146 |
2. [교전] 발간과 교서 결집 | 185 |
2. 공부·사업 고시법과 유공인 대우법 | 144 |
2. 교육 사업 진흥과 원광학원군 | 126 |
2. 대종사의 발심 | 137 |
2. 도운융창 대기도와 해외 포교 모색 | 1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