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종사, 어려서 부터 글 공부와 살림에는 뜻이 없으시고, 오직 도(道) 구하는 데에만 뜻을 두시매,
부친께서 처음에는 이해를 못하다가, 마침내 대종사의 정성에 감동되어 그 구도를 적극 후원하셨으며,
대종사께서 20세에 이르도록 도사 만날 소원도 이루지 못함을 보시고는 [마당바위] 부근에 수간의
초당을 지어 심공(心功)을 들이게도 하시더니, 원기 전 6년(1910·庚戊) 10월 마침내 별세하시었다.
이에 대종사께서는 생활과 구도의 후원을 일시에 잃게 되신 데다가, 이미 큰 형과 아우는
출계(出系) 분가하고, 중형은 일찍 별세한지라, 모친의 봉양과 권속의 부양을 다 대종사께서
책임지시게 되니, 뜻 없는 살림과 경험없는 고생에 그 괴로움은 이루 다 말할 수 없으시었다.
뿐만 아니라, 6년 동안 구하고 바라던 도사도, 수많은 사람을 접응하여 보시었으나,
바른 스승을 찾을 곳이 없게 되매, 22세 때 부터는 도사 만날 생각도 차차 단념하시고
[이 일을 장차 어찌할꼬] 하는 한 생각만 점점 깊어져 갔다. 처음에는 생활에 대한 계교심도 혹 있었고,
고생이라는 느낌도 혹 있었으나, 세월이 갈수록 다른 생각은 다 잊으시고, 오직 그 한 생각으로
아침에서 저녁에 이르고 저녁에서 아침에 이르시며, 때로는 저절로 떠 오르는 주문(呪文)도 외우시고,
때로는 고창 연화봉(全北高敞郡心元面蓮花峰) 초당 등으로 장소를 옮기어 정신을 수습도 해 보시었으나,
25세 때 부터는 [이 일을 장차 어찌할꼬]하는 그 생각마저도 잊어버리게 되어, 점점 행하여도
행하는 줄을 모르고, 말하여도 말하는 줄을 모르며, 음식을 드시어도 드는 줄을 모르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 동안 두 번 이사에 집은 두 번 다 무너지고, 생계는 막연하여 조석 공양이 어려운 데다가,
복중(腹中)에는 큰 적(癪)이 들고, 온 몸에는 종기가 가득하여, 가족들의 근심은 말할 것도 없고,
마을 사람들은 다 폐인으로 인증하게 되었으며, 그 정신이 어느 때에는 혹 분별이 있는 듯 하다가
다시 혼돈하여 지고, 혹 기억이 나타나는 듯 하다가 다시 어두어 지니, 부인은 대종사의 정신 회복을
위하여 다년간 후원 별처(後園別處)에서 기도를 드리기도 하였다.
댓글 0
- 전체
- 동방의 새불토
- 소태산 대종사
- 제생의세의 경륜
- 회상건설의 정초
- 교법의 초안
- 새 회상의 공개
- 새 제도의 마련
- 교단체제의 형성
- 끼쳐주신법등
- 교단체제의 완비
- 성업봉찬사업
- 목표사업기관의 확립
- 일원세계의 터전
- 결실성업의 전진
- 개교 반백년의 결실
제목 | 조회 수 |
---|---|
■ 인터넷 법문사경(http://typing.won.or.kr/)으로 하루 업무를 시작합시다. | 30659 |
1. 교법의 연원 | 171 |
1. 교화 기관지의 발행 | 135 |
1. 대종사 성탑의 봉건과 봉찬사업 준비 | 181 |
1. 대종사의 탄생과 유시 | 158 |
1. 불법에 대한 선언 | 153 |
1. 불법연구회 창립 총회 | 161 |
1. 사종 의무 여행(勵行)과 교헌 개정 | 143 |
1. 삼대 목표사업과 재단 기업의 시련 | 152 |
1. 상조조합과 산업·육영 창립단 | 127 |
1. 새 회상의 확인과 반백년 준비 | 152 |
1. 서설 | 114 |
1. 시국의 긴박과 계획의 보류 | 121 |
1. 일정의 탄압과 해방 | 135 |
1. 저축 조합 운동 | 206 |
1. 정산 종법사 열반과 대산(大山)종법사 추대 | 146 |
2. [교전] 발간과 교서 결집 | 185 |
2. 공부·사업 고시법과 유공인 대우법 | 144 |
2. 교육 사업 진흥과 원광학원군 | 126 |
2. 대종사의 발심 | 137 |
2. 도운융창 대기도와 해외 포교 모색 | 1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