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연구회의 최종 [회규]가 수위단회를 종법사 보좌 기관으로 하고
1개 항의 의결 사항만을 규정한데 대해 [원불교 교헌]은 수위단회를
[종법사의 최고 자문에 응하는 기관]으로 하고 5개 항의 의결 사항을 규정하여
법적으로 수위단회의 기능을 확대하였으며, 사실상 이로 부터 수위단회는
이단치교의 중심이 되기 시작하였다.
초창기 남자 수위단의 첫 조직과 법인 성사의 성취 사실은 이미 기술하였거니와,
원기 11년(1926·丙寅)에 박 세철의 열반으로 이 동안이 입단하고,
이 순순·박 동국·유 건의 대리로 송 도성·전 음광·조 갑종이 내정되었다가
16년(1931·辛未) 2월에 정식 입단하였으며, 그 해 3월에 여자 수위단 시보단이
처음 조직되었으나, 기도 행사 중 뒤로 미루었다.
원기 20년(1935·乙亥)에 김 기천의 열반으로 유 허일,
24년에 김 광선의 열반으로 박 대완, 26년에 이 동안의 열반으로
서 대원(徐大圓), 28년 4월 개편 조단으로 이 완철이 입단하는 동시에,
여자 수위단이 대종사에 의하여 새로 내정되었다.
여자 수위단은, 단장 대종사, 건방(乾方) 일타원 박 사시화(一陀圓朴四時華대리金永信),
감방(坎方) 이타원 장 적조(二陀圓張寂照대리曺專權),
간방(艮方) 삼타원 최 도화(三陀圓崔道華대리曺一貫),
진방(震方) 사타원 이 원화(四陀圓李願華대리徐大仁),
손방(巽方) 오타원 이 청춘(五陀圓李靑春대리吳宗泰),
이방(离方) 육타원 이 동진화(六陀圓李東震華),
곤방(坤方) 칠타원 정 세월(七陀圓鄭世月),
태방(兌方) 팔타원 황 정신행(八陀圓黃淨信行),
중앙(中央) 구타원 이 공주(九陀圓李共珠)였다.
그 해(원기28·1943) 6월, 대종사 열반 후 개편 조단으로 송 혜환,
29년, 이 재철 열반으로 김 대거가 입단하였으며,
30년(1945·乙酉) 1월25일, 여자 수위단이 실무단으로 발족함에 이르러,
5인의 대리 단원이 정식 입단하고, [남녀 정수위단]이
비로소 [회규]에 따라 실무 체제를 갖추었다.
그 후 31년 4월에 남자 수위단 제 8차 보결 조단이 있었고,
38년(1953·癸巳) 4월에 창립 제 2대를 맞아 첫 총선거로
상당수 남녀 단원의 개편이 이루어 졌다.
39년(1954·甲午) 4월에 정산 종법사는 수위단회와 교무 연합회에 내리신 유시로
[수위단회의 위신과 직능을 더욱 강화하여 교단 통치의 핵심체를 삼으라] 하시었고,
이 뜻은 44년(1959·己亥)의 교헌 개정에 충분히 반영되었다.
54년(1969·己酉) 5월에는 그 동안 총무부가 겸행해 온 수위단회 사무처를
독립 발족(초대처장金允中)하여 분과제와 전문위원제를 실시함으로써
수위단회는 명(名)과 실(實) 함께 교단 최고의 의결 통치 기관이 되었으며,
창립 제2대에 들어서서 반백년 기념대회 연도까지 4차의 총선거와 남녀 각 3차의 보결 조단이 있었다.
댓글 0
- 전체
- 동방의 새불토
- 소태산 대종사
- 제생의세의 경륜
- 회상건설의 정초
- 교법의 초안
- 새 회상의 공개
- 새 제도의 마련
- 교단체제의 형성
- 끼쳐주신법등
- 교단체제의 완비
- 성업봉찬사업
- 목표사업기관의 확립
- 일원세계의 터전
- 결실성업의 전진
- 개교 반백년의 결실
제목 | 조회 수 |
---|---|
■ 인터넷 법문사경(http://typing.won.or.kr/)으로 하루 업무를 시작합시다. | 30659 |
1. 교법의 연원 | 171 |
1. 교화 기관지의 발행 | 135 |
1. 대종사 성탑의 봉건과 봉찬사업 준비 | 181 |
1. 대종사의 탄생과 유시 | 158 |
1. 불법에 대한 선언 | 153 |
1. 불법연구회 창립 총회 | 161 |
1. 사종 의무 여행(勵行)과 교헌 개정 | 143 |
1. 삼대 목표사업과 재단 기업의 시련 | 152 |
1. 상조조합과 산업·육영 창립단 | 127 |
1. 새 회상의 확인과 반백년 준비 | 152 |
1. 서설 | 114 |
1. 시국의 긴박과 계획의 보류 | 121 |
1. 일정의 탄압과 해방 | 135 |
1. 저축 조합 운동 | 206 |
1. 정산 종법사 열반과 대산(大山)종법사 추대 | 146 |
2. [교전] 발간과 교서 결집 | 185 |
2. 공부·사업 고시법과 유공인 대우법 | 144 |
2. 교육 사업 진흥과 원광학원군 | 126 |
2. 대종사의 발심 | 137 |
2. 도운융창 대기도와 해외 포교 모색 | 133 |